이 글은 토지이용규제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포스팅입니다.
[ INTRO ]
안녕하세요 : )
문뜩생활정보입니다.
설계를 시작하기 전, 내 땅이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일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데요.
오늘은 여러 방법 중 하나인 토지이용규제서비스 활용 방법입니다.
[ 토지이용규제서비스 이용하기 ]
LURIS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, 토지의 효율적 이용으로 행복한 세상을 열어갑니다.
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, 토지이용규제, 토지이용, luris, 국토교통부, 토지의 효율적 이용
luris.molit.go.kr
『 1. 토지이용규제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 』
『 2. 이제 우리가 알아보고 싶은 땅을 찾기 위해서 주소를 입력합니다. 』
① 주소를 입력하는 방법에는
[ 주소,도로명,지도 ] 3가지 선택이 가능합니다.
② 주소로 찾을 때는 '지번이 나오게 입력'
도로명으로 찾을 때는 '도로명을 입력'
주소가 기억나지 않을 때는 지도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.
『 3. 주소를 입력하시면 위 화면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 』
위의 화면은 반포동 일대를 선택하여 살펴본 토지이용규제정보입니다.
여기서 여러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요. 먼저,
① 여기서 기본적인 법적제한 요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( 법령을 굳이 검색해서 찾지 않아도 기본적인 법규를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.)
② 이 항목에서는 내가 검색한 대지가 어떤 지목에 해당하는지, 면적이 얼마나 되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③ 이 항목에서는 내가 선택한 대지의 지번과 지역 지구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
( 조금 더 넓게 보고싶다면, ③번 우측 하단에 축적을 선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.)
④ 이 항목에서는 해당 지역,지구에 해당하는 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.
( ③번에서 축적을 크게하여 지도가 넓어질 수록 해당되는 지역,지구가 넓어질 수 있어 정보가 많아 질 수 있습니다.)
[ 마침 ]
이번 포스팅에서는 건축설계를 시작할 때,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토지이용규제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는 지적도 및 토지이용계획도를 좀 더 간단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: )
'Architect 프로그램 활용방법 > MA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QGIS 없이 지도의 정보 파악하기 ( ※ VWORLD ) (0) | 2021.01.22 |
---|---|
네이버 지도/ 카카오맵 으로 지적도 확인하기 (0) | 2021.01.18 |